메니에르병이란?
어지럼증과 청력 저하, 이명(귀울림), 귀가 먹먹해지는 이(耳) 충만감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동시에 생기는 질병으로, 1861년에 프랑스 의사 메니에르(Meniere)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메니에르이라고 명칭하고 있습니다. 메니에르병은 급성 현기증을 일으키는 가장 대표적인 내이 질환입니다. 연예인 한지민배우가 앓은 질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메니에르병 증상
주된 증상으로는 반복적인 어지러움, 청력 저하, 귀울림, 귓속의 먹먹한 증상 입니다. 발병 초기에는 현기증이 매우 강하게 느끼며, 어지럼증으로 인하여 구토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특히 난청이 저주파수 대에서 시작되면서 점차 병이 진행되면서 고음역대에서 청력을 잃어가기 시작합니다. 어지럼증의 경우에는 짧게는 20~30분 정도에도 회복하지만 1~3일 정도 장기간 소요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빈도 수가 한 달에 10회 정도의 많은 빈도가 발생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생깁니다. 심지어 환자의 절반 정도는 귓속의 먹먹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발작의 신호로서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메니에르병 원인
아직 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만, 내림프액의 흡수 장애로 내림프 수종이 생기는 이유로 생길 수 있습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귀 속에 관 모양의 구조물인 내림프관이 있고, 이 관 안에는 내림프액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내림프액의 흡수장애가 발생하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서 부어오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내림프 수종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기전으로 자가 면역 질환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메니에르병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진 인체 백혈구 항원에는 B8/DR3와 Cw7이 있고, 혹은 내이 단백 항원 중 제2형 교원질(type Ⅱ collagen)에 대한 자가면역 항체가 증가되어 있는 현상이 메니에르병에서 관찰되고 있습니다.
메니에르병 진단방법
특징으로 설명드렸었던 어지럼증, 청력저하, 이명, 귀 먹먹함 등을 검사하는 방법을 통해서 진단하고 있으며, 이러한 검사로 메니에르병이라고 특정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꾸준하게 검사를 하면서 경과를 살핀 이후에 진단하기도 합니다.진단기준이 명확하지 못하고 이렇게 방식이 애매한 이유는 내림프관 이 귀 깊은 곳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관찰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CT, MRI 같은 영상촬영을 통해서도 확인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특히, 어지럼증의 지속 시간은 다른 질환과의 감별에 매우 중요한 정보로 진단에 참고합니다. 임상 증상 다음으로 진단에 중요한 것은 청력검사이며, 이 외에 전정기능 검사와 전기와우도 검사(electrocochleargraphy, ECoG)를 통해서도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청력검사
병의 초기에 청력검사상 특징적으로 저음역에서의 변동성의 감각신경성 난청과 고음역의 청력 저하가 나타나기 때문에 청력 저하 증상은 점차 진행되는 특징으로 병의 진행 과정에 따른 내이 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가장 좋은 검사 방법입니다.
전정기능 검사
어지럼증 등을 감별하는 검사로, 급성 현기증의 발작 시기에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인한 현기증과의 감별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탈수검사(dehydration test)
이뇨제인 푸로세마이드(furosemide)나 글리세롤(glycerol)을 이용하여 메니에르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내림프의 압력을 감소시켜 청력의 호전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250Hz에서 4000Hz까지 15dB의 청력이나 12% 이상의 어음변별력의 호전이 있는 경우에 양성으로 판단한다.
영상진단(CT, MRI)
내림프관의 좁아진 징후를 발견할 수도 있지만 중추신경계의 병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메니에르병 치료방법
보통 간단한 식사 조절만으로도 잘 치료됩니다. 일반적으로 식사 조절과 약물 치료로 환자의 약 80~90%는 일상생활이 가능한 수준까지 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식사 조절의 경우에는 저염식을 의미하고 있으며, 약물 치료는 진정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등의 약물을 투여합니다. 치료 후에도 심한 어지럼증이 지속된다면 내림프관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수술을 하거나 고막 안에 약물을 주입하여 속귀의 평형 기능을 없애는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즉, 속귀의 기능을 파괴하는 수술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메니에르병 예방방법
평소 식사습관을 저염식으로 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메니에르병에 좋은 음식으로 견과류를 섭취하거나 청신경에 이롭다는 아연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 습관의 변화만으로도 유발 원인을 회피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어지럼증 등을 유발하는 원인은 과로, 불면, 등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도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