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어린선, 기온이 낮은 가을 겨울철에 자주 발생하는 피부질환 비늘증(어린선)의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방법

by Dinero-Economy 2022. 10. 24.

날씨가 추워지면 피부가 건조해 갈라지거나 오돌토돌 트러블이 올라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 가을(겨울)이 오면서 대기 중의 습도가 감소해 피부를 보호하는 각질층의 수분 함류량이 적어져 피부 건조증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피부의 수분 손실이 많아지고 자극을 받아 아토피 피부염, 건선, 화폐상 습진, 어린선 등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겨울에 더 심해지는 어린선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린선, 비늘증이 무엇일까요?

    어린선-뱀살-비늘
    어린선-뱀살-비늘

    어린선은 물고기 (漁) 에 비늘 린(鱗), 옴 (癬) 자를 써서 어린선은 비늘증과 같은 말입니다. 피부가 건조하여 전신에 비늘을 보이는 질환 입니다.질환입니다. 쉽게 말하면 보통 피부가 건조하면 로션을 바르는데 바르지 않으면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각질이나 피부가 말라서 불편한 경우들이 있는데 이게 마치 물고기 비늘처럼 각질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어린선은 250명당 1명 정도의 발생빈도를 나타내는 흔한 질환입니다. 신생아에게 나타났다면 신생아 어린선이라고 하듯이, 어린선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질병 분류기 호도 다르고 명칭 또한 여러 가지입니다.  

    질병 분류기호  
    Q80.0 보통비늘증 (lchthyosis vulgaris)
    Q80.1 X-연관비늘증 (X-linked ichthyosis)
    Q80.1 X-연관비늘증;스테로이드설파타제결핍(X-linked ichthyosis; steroid sulfatase deficiency)
    Q80.2 층판비늘증(Lamellar ichthyosis)
    Q80.2 콜로디온아기(Collodion baby)
    Q80.3 선천 수포성 비늘모양홍색피부증 (Congenital bullous ichthyosiform erythroderma)
    Q80.4 할리퀸태아 (Harlequin fetus)
    Q80.8 기타 선천비늘증 (Other congenital ichthyosis)
    Q80.9 상세불명의 선천비늘증(Congenital ichthyosis, unspecified)

    어린선 원인

    보통 염색체 우성 유전에 의해 나타납니다. 하지만 열성인 경우에도 매우 드물게 존재한다. 유전이 아닌 경우 림프선암이나 갑상샘기능 저하증, 사르코이드증 등의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 비늘증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으며 드물게 약제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치료방법에 기재해두었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심부온도가 저하되어 모공이 닫히고, 닫힌 모공으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어린선 증상

    어린선의 증상으로는 피부건조로 균열이 일어나고,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 그리고 사지의 내측보다 외측의 증상이 더 심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게 건조한 피부에 미세한 비늘이 전신에 덮여있습니다. 건조한 겨울에는 심화되는 경향이 있고 습한 여름에는 상태가 호전되기도 합니다. 즉, 건조함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생명에는 보통 위협을 주지 않는 질환이기는 합니다만, 선천성 어린선의 심한 형태인 할리퀸어린선의 경우 체온조절에 취약하고 패혈증 호흡부전 신부전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사망 위험성이 발생합니다.

     

    어린선 치료법

    근본적인 증상의 원인을 먼저 파악하고 치료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1. 왜 뱀살, 비늘이 생길까요?

    날씨가 추워지면서 심부온도가 저하되면 모공이 닫히게 됩니다. 모공이 닫히면서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이죠. 그러면 피부가 갈라지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뱀살과 비늘 같이 것들이 형성됩니다.

     

    2. 왜 가려움증이 생길까요?

    날씨가 추워지면서 심부온도가 저하되면서 모공이 닫히게 되는 것은 동일합니다. 이 모공이 닫히는 현상은 열 방출을 어렵게 만드는 것입니다. 열이 제때 방출되지 않으면 가려움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3. 공통점인 부분을 먼저 해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부의 온도를 높여, 모공을 열어주는 역할 해야 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방법입니다. 심부온도를 올리는 것 자체가 해결하는 방법이 쉽지 않아, 일반적으로는 상태의 악화를 방지하는데 초점을 두고 장기간 치료가 지속되어야 합니다. 심부온도 높이기 위해서는 하루 30분 유산소 운동을 하면 좋습니다. 고강도 유산소 운동은 활성산소를 내보내고 신선한 공기를 체내 흡하면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신진대사를 놓여줍니다. 결과적으로 신체의 각 부분을 활성화하여 심부체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상태의 악화를 방지시키는 방법으로는 보습이 가장 중요합니다. 보습제 혹은 오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랫동안 목욕을 하게 되면 체내의 수분을 뺏어갈 수 있기 때문에 목욕 횟수를 줄이고 샤워하는 경우에는 뜨겁지 않은 미지근한 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목욕이나 샤워 후에는 3분 이내에 보습제를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기온이 낮은 계절에 자주 발생하는 피부질환인 비늘증(어린선)의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가을 겨울철 보습에 많은 신경 써주시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