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파선염이란?
임파선염은 감염이나 기타 악성 종양 등에 의한 면역 현상으로 임파절이 비대해지는 증상입니다. 대부분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양성이거나 일시적인 바이러스 감여증 등에 의한 경우입니다.
임파선은 혈액 이외의 체액이 이동하는 통로이고, 목 부분에 몸 전체 임파선의 40%가 분포하고 있습니다.
임파선염 증상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임파선이 비대해져서 덩어리가 만져지고, 감염증에 의한 발생한 경우에는 눌렀을 때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임파선염 원인
외부에서 침투한 세균과 바이러스, 과로, 스트레스 등에 임파선이 반응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구강을 비롯한 상부호흡기계의 감염증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염의 원인으로는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과 같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결핵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비정형 결핵균이나 브루셀라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감염성 질환 이외에 혈액암이나 임파종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고, 유육종증(sarcoidosi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머티즘 관절염 혹은 면역기능에 장애가 생긴 경우에도 임파선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파선염 진단방법 및 검사방법
대부분 임상적으로 진단하게 되는데, 임파절이 비대해진 정도나 발생속도, 동반된 증상들을 고려하여 진단하게 됩니다. 하지만 임상적인 증상만으로는 완전한 감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조직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먼저, 해당 부위의 CT 혹은 초음파 등을 활용한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임파절 종대의 정도, 주변 조직과의 관계를 확인합니다.
이후 바늘 혹은 피부 절개를 통한 조직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40~50대 이상의 성인의 목에 혹이 만져진 경우에는 전이성 암을 의심할 수 있으니 조직검사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임파선염 치료방법
몇 주 내에 자연치유가 될 수 있습니다. 충분한 휴식과 수분을 섭취하고 체온이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한다면 자연치유가 좀 더 원활해지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별도의 치료방법을 이용하게 된다면 원인에 따라서 약물 치료가 시행됩니다.
세균감염에 의한 임파선염이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고, 결핵이 원인인 경우에는 항결핵제를 통해서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