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 무릎 바깥쪽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의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방법과 예방방법

by Dinero-Economy 2022. 10. 18.

갑작스러운 운동을 진행하게 되면 무릎 바깥쪽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겪을 수 있습니다.

가을철 외부활동하기 좋은 날씨가 되면 등산, 자전거, 마라톤 등 스포츠 활동을 즐기고 싶어 져 갑자기 무릎을 과하게 사용하게 되면 생기는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 입니다. 육상선수나 사이클 선수들이 대표적으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라토너의 병이라는 명칭이 있을 정도이죠.  허벅지의 근력이 약한 여성의 경우에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이 쉽게 나타는 경향이 있습니다.



    장경인대증후군 이란?

    장경인대증후군-통증부위
    장경인대증후군-통증부위

    무릎 바깥쪽의 관절면에서 약 2~3cm 정도 윗부분에 염증이 발생하면서 발병하는 증후군입니다. 무릎이 지속적으로 굽혔다 폈다를 반복하는 등산이나 자전거 타기 그리고 달리기(마라톤) 같은 운동을 하게 되면 쉽게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경인대와 무릎 옆 대퇴골과 지속적으로 마찰이 일어나 통증이 발생하는 아주 흔한 질환입니다. 

     

    장경인대 란?

    장경인대는 다리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인대로, 골반에서부터 길게 무릎관절을 거쳐 경골(정강이 뼈)의 바깥쪽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장경인대는 근육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 수축, 이완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이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의 핵심입니다. 역할로는 무릎 관절을 지탱하고,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의 체중을 지지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의 증상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 무릎관절의 바깥쪽에서의 통증을 유발합니다.무릎을 굽혔다 펼 때 통증이 느껴지고 무릎을 30도로 굽혔을 때 통증이 심화됩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계단 등을 오르내릴 때 오르막길보다는 내리막길을 걸을 때 통증이 크게 느껴집니다통증이 느껴질 때 동작을 멈추면 통증이 사라지지만 다시 활동하게 되면 즉시 통증이 발생합니다. 염증으로 인한 질환이기 때문에 심해지면 무릎 바깥쪽 부위를 누르기만 해도 통증이 나타나고 당기거나 붓기도 합니다.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의 원인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장경인대가 대퇴골과 마찰이 생기면서 해당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 원인입니다. 마찰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봐야 할 텐데요. 장경인대와 연결되어 있는 근육들이 굳은 경우 장경인대를 직접 당겨버리게 되어 장경인대와 대퇴골의 거리가 짧아져 닿아버리는 것입니다. 즉, 해당 근육들이 굳게 만드는 행위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1.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이 안되어 장경인대와 골반 엉덩이 허벅지 근육이 경직되어 있는 경우

    2. 맞지 않는 신발이나 새로 산 신발을 신은 경우

    3. 선천적인 인대 이상이나 양쪽 다리 길이가 차이가 나는 경우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의 치료방법

    가장 처음 명심해야 되는 부분은 휴식입니다.

    염증이 가라앉을 수 있도록 무릎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첫 번째 치료행위입니다. 스테로이드 치료를 통해서 염증을 빠르게 가라앉히고 통증을 개선할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우선 통증만을 사라지게 하는 방법일 뿐입니다.

     

    장경인대와 관련된 근육을 유연하게 만들어줍니다.

    장경인대는 대둔근, 중둔근, 대퇴 장막 대근 근육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해당 근육들이 유연하게 되면 장경인대의 길이가 대퇴골로부터 여유로워집니다. 해당 3가지 근육을 지속적으로 스트레칭하여 유연하게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의 예방방법

    원인이 아주 간단하듯 예방방법 또한 매우 간단합니다. 근육이 수축 긴장되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는 방법으로 어릴 적부터 배워왔던 준비운동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장경인대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대퇴 장막 대근, 대둔근, 중둔근을 스트레칭하고 운동을 시작하게 된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의 신체 강도에 맞게 운동 강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아무리 스트레칭을 해주어도 준비되지 않은 신체로 과도한 운동을 진행하게 된다면 반드시 몸에 손상을 일으킵니다.

     

    지금까지 장경인대 마찰 증후군과 관련하여 무릎 바깥쪽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의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방법과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