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편두통(Migraine), 증상 원인 진단방법 검사방법 오른쪽 편두통 왼쪽 편두통 지압방법

by Dinero-Economy 2023. 3. 9.

편두통이란?

머리의 한쪽에서만 나타는 두통을 편두통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일측성, 박동성 통증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고 구역과 구토 증상 및 빛과 소리 공포증을 나타나는 특징적을 두통을 이야기합니다. 편두통의 80%가 두통 때문에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편두통 증상

4단계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전구 증상(prodrome)

두통이 시작되기 2~48시 전에 환자의 30~40%가 겪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울, 분노, 다행감, 경조증과 같은 정신 혹은 기분에 대한 변화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목이 뻣뻣해지고 오한, 나태, 피곤, 하품, 배뇨 빈도 증가 드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두 번째, 전조 증상(aura) 혹은 조짐편두통(migraine with aura)

다양하게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입니다. 시각증상, 감각증상, 언어증상 같은 것들이 수십 분 정도 지속 되고, 전조증상 혹은 조짐편두통이 시작되고 1시간 이내에 두통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 적입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일부 전문의들은 편두통 진단일 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전조증상의 유무는 편두통과 다른 두통을 구별시켜 주는 증상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반드시 나타나는 증상이 아니기 때문에 환자의 20%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 번째, 두통(headache)

대부분의 두통은 편측성이며 쑤시는 느낌이 듭니다. 보통 아침에 일어났을 때 두통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고, 두통이 진행되기 시작하면 4~72시간 이내에 진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통의 통증은 일반적으로 신체 활동에 의해 악화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어둡고 조용한 방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 번째, 후구증상

두통이 해소된 다음, 환자의 대부분이 다음과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기분 및 지적 수준의 저하, 불안정감, 무기력함, 혼란스러움 및 무뚝뚝함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신체적 피로감 및 근육 쇠약도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편두통 원인

정확한 원인이 아직 밝혀진 바는 없지만, 2가지의 가설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첫 번째, 혈관가설

두피를 지나가는 혈관이 박동성을 가지고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는 것이 뇌에 신경 섬유가 압박을 받으면서 편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편두통의 전구증상과 조짐 증상을 설명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입니다.

 

두 번째, 신경 탓 이론 혹은 신경성 염증(neurogenic inflammation)

두피 및 두 개에 존재하는 혈관에 분포하는 신경 말단으로부터 혈관 작용성 펩타이드가 유리되어 혈관 확장, 혈장의 혈관 밖 수축 및 염증 반응이 유도되어 두통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오른쪽 편두통과 왼쪽 편두통의 원인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일반적으로 오른쪽 편두통과 왼쪽 편두통의 원인은 동일하다고 합니다. 굳이 차이를 찾자면 뇌의 영역 활동 패턴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아직은 여전히 논의 중이며 명확한 결론이 없는 상태입니다.

현재 상황에선 아직 원인으로는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편두통 진단방법 및 검사방법

편두통을 진단하는 특별한 검사방법이 없기 때문에 임상적인 문진과 진찰을 통해서 진단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두통 발작이 4~72시간 지속되고 있는가

일측성인가

박동성인가

일상적인 육체활동을 할 때 악화되는가

구역 또는 구토 증상이 나타나는가

빛 혹은 소리에 관한 공포증 등의 완전 가역성 시각 증상이 있는가

따끔거리거나 무감각해지는 등의 완전 가역성 감각증상이 나타나는가

완전 가역성 언어장애가 나타나는가

 

정도의 임상문진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편두통 치료방법

적절한 급성기 약물 요법을 통해 통증을 완화시키고 그 이후에 두통의 빈도와 강도, 지속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예방 요법을 병행합니다. 편두통 발작이 시작되면 즉시 급성기 약물을 투여해야 됩니다. 즉, 약물 투여는 빠를수록 좋습니다.

진통제, 카펠고트 등이 포함된 복합진통제를 통한 약물 치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약물의 남용은 두통의 증상이 변형될 수 있으니 주의해서 투여해야 합니다.

편두통에 특이적으로 사용하는 급성기 약물로는 수마트립탄(sumatriptan), 졸미트립탄(zolmitriptan), 나라트립탄(naratriptan)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두통을 일으키는 인자를 피함으로써 편두통을 예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편두통의 흔한 유발 인자로는 정서적 스트레스, 수면 부족, 피로, 소음, 생리가 있으므로 이를 피할 수 있는 것이 좋습니다. 즉, 완정을 취하고 대인관계를 개선하고 긍정적인 사고를 통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식이 조절도 필요합니다.  편두통을 유발하는 음식으로는 치즈, 소시지, 햄, 베이컨, 초콜릿, 카페인 함유 음식 등이 있습니다. 타이라민이 포함된 치즈, 초콜릿, 밀감, 커피, 적포도주는 주의해야 합니다. 우유 제품, 견과류, 소금, 토마토, 코코넛 등도 조심해야 합니다.

 

편두통에 있어서 지압은 좋은 방법일까?

편두통은 뇌혈관의 확장이나 수축으로 발생하는 통증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지압 자체는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귀 뒤쪽을 지압하는 방법

귀 뒤쪽에 있는 작은 뼈인 마와 샤크라(Mastoid process) 부위를 중심으로 작은 동그란 울퉁불퉁한 부위가 있는데 여기를 강하게 눌러주면 편두통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손가락 끝 지압하는 방법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두통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은데, 손가락 끝을 지압하여 뇌가 손가락 끝에 집중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뇌의 긴장을 풀어줍니다. 이러한 방법도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