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폐렴(pneumonia), 원인 증상 진단방법 치료방법 예방방법

by Dinero-Economy 2023. 1. 29.

폐렴이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발열, 기침, 가래, 숨 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폐렴
폐렴

폐렴의 증상

폐에 염증이 생겨서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폐 증상이 나타납니다. 폐 증상으로는 호흡기계 자극으로 인하여 기침이 발생할 수 있고,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래의 경우에는 색깔이 노랗거나 탁하게 변합니다.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이 나타난다. 흉막까지 염증이 침범한 경우 숨 쉴 때마다 통증이 동반하게 됩니다. 폐의 염증이 넓은 범위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 호흡부전으로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폐렴의 원인

일반적인 원인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이고, 드물게 곰팡이에 의한 감염입니다. 과거와는 다르게 폐렴 원인균의 항생제 내성도 조금씩 강해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치료가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폐렴의 진단방법

호흡기 증상과 배양 검사를 통해서 1차적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하지만 균 배양이 확인된다면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지만 폐렴의 50% 정도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가슴 방사선 촬영을 통해서 폐의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도 추가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객담검사, 혈액 검사, 혈청 검사, 흉막액 배양검사, 소변항원검사 등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폐렴의 치료방법

원인균에 따른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주사 혹은 경구 항생제를 이용하여 치료합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경미한 경우 외래치료를 할 수 있지만 중증의 경우에는 입원치료를 진행해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합병증이 없거나 지속적인 복용약에 의하여 약물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보통 2주간 치료한다. 정도가 심각하여 스스로 호흡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에 의지하여 치료를 지속하게 됩니다.

 

폐렴의 예방방법

폐렴구균에 의한 예방은 백신이 존재하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통해서 예방할 수 있습니다. 100% 완전한 예방은 어려우나 감염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의 경우는 권장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