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종이란?
손바닥 쪽이나 손등 쪽의 손목, 손가락, 발목 등에 물혹이 발생하는 질화 늘 결절종이라고 합니다. 양성 종양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관절을 싸고 있는 막에서 발생하여 부풀어 오르는 것인데, 피부 밑에 덩어리가 만져집니다.
결절종 원인
원인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만, 힘줄이나 관절을 싸고 있는 막의 세포들이 퇴행성 변화를 일으킬 때 점액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점액이 모이거나 뭉쳐지게 되면 혹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결절종 증상
특별한 증상은 없고, 혹이 만져지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크기 작을 때는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지만, 혹의 크기가 어느 정도 커지게 되면, 관절이 움직일 때, 조직이 눌리는 듯한 느낌이 들어 불편감이 들게 됩니다. 손가락 관절에 혹이 생기는 경우에는 물건을 잡을 때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손등에 혹이 있는 경우에는 혹이 튀어나오면서 압박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결절종 진단방법 및 검사방법
종양의 위치와 운동성 글고 촉진 시 감촉 등을 통해서 진단하게 됩니다. 그리고 X-ray 혹은 초음파, MRI를 통해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결절종 치료방법
대개 보존적인 방법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주사를 이용하여 결절종 내의 관절액을 뽑아내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다시 관절액이 차기 때문에 일시적인 조치이며 치료방법으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서 주머니와 원인인 관절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절종을 터트려도 될까?
피부 아래 조직에 발생하게 되는데, 결절종을 터트리게 되면 낭종 내부로 액체와 세균이 피부 위로 흘러나오면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낭종의 재발 가능성도 높습니다. 결절종이 불편하지 않다면 방치도 문제 되지 않지만, 불편함이 느끼는 경우 직접 터트리기보단 내원하시어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절종이 자연치유는 될까?
결절종이 자연치유 되는 것은 거의 드물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불편감이 느껴진다면 내원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