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 다한증이란?
국소 다한 증은 손바닥, 발바닥, 얼굴 겨드랑이 등 특정한 부위에 땀이 병적으로 많이 나는 질환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서적 자극에 의해 땀이 발생하게 됩니다만, 사회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화되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국소 다한증 원인
땀샘의 변화, 땀 분비 물질의 활성화, 교감 신경의 항진, 정서적 영향 등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바닥 발바닥 다한증의 경우에는 주로 감정적, 정신적 활동으로 인해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위에서 나는 땀의 경우에는 뇌 피질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정서적인 영향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소 다한증 증상
대표적인 증상은 땀 분비가 증가된다는 것인데, 그 외에는 특별한 증상은 없습니다. 하지만 피부가 습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기구 등에 포함된 화학 물질이 땀에 용해되면서 접촉성 피부염을 동반할 수 있고, 세균 감염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악취가 날 수 있습니다.
국소 다한증 진단방법 및 검사방법
자가진단하는 방법으로는 병변이 발생하는 부위에 1) 통증 또는 불쾌감 2) 혈액순환이 차단되거나 불균형이 생김 3) 신경 기능 장애 4) 열감 또는 춥고 저릿한 느낌 5) 변색 중에서 3가지 이상 해당되는 경우에 다한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의심되는 경우에는 내 원하 시어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만, 특별한 검사방법은 없으며, 일반적으로 임상 양상을 기반으로 진단하기 때문에 환자가 땀이 많이 나서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고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겪는다면 다한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국소 다한증 치료방법
우선 전신 질환의 유무를 먼저 파악합니다. 전신질환으로 인한 다한증의 경우에는 전신 질화 늘 치료하는 경우 호전되는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는 1%의 포르말린, 10%의 글루타알데하이드, 20%의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용액을 다한증 부위에 도포하거나, 이온영동 요법을 통해서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보톡스 주사를 사용하여 주사 부위의 땀 분비를 억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리고 원인에 기재한 것과 같이 정서적 요인으로 발생한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진정제나 신경안정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수술적 치료를 진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특정 부위의 피부를 제거 혹은 병변 부위의 교감 신경을 절제하여 땀 분비를 억제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수술적 치료의 경우에는 다른 부뷔에 발한이 증가하는 부작용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으므로 소과 겨드랑이 다한증이 심한 환자에 국한하여 시행하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