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생리통 혹은 원발성 월경곤란(Primary dysmenorrhea), 증상 원인 진단방법 검사방법 치료방법 완화자세

by Dinero-Economy 2023. 3. 10.

생리통(원발성 월경곤란) 이란?

생리를 하는 여성의 50%에게서 나타나는 원발성 월경곤란은 흔히 생리통이라고 부릅니다. 골반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 생리통이 일어나는 경우를 원발성 월경곤란(일차성 생리통)이라고 하며, 기질적인 원인이 있는 경우를 속발성 월경곤란(이차성 생리통)이라고 합니다. 보통은 젊은 여성에게 나타나지만 40대까지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발성 월경곤란(생리통)의 증상

생리 시작하기 몇시간 전 혹은 시작 직후에 통증이 나타나게 되고 48~72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방광 위쪽에서 진통과 비슷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통증은 허리, 천골, 허벅지 까지도 전달되기도 합니다.

상복부 압통이나, 반동압통이 없으며 장음 또한 정상입니다.

보통 생리통이 있는 경우에 진단을 시행하면, 자궁의 압통은 있지만 자궁경부 및 양측 난소의 압통은 없습니다. 

 

원발성 월경곤란(생리통)의 원인

주요한 원인은 자궁 내막의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의 생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자궁 내막 세포에서의 변화가 생기면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이 증가될 수 있는데, 이 물질은 자궁의 수축의 톤이 증가시킵니다. 

 

원발성 월경곤란(생리통)의 진단방법 및 검사방법

초음파 혹은 복강경 검사를 시행합니다. 골반 내 병변이 있는지 확인하며 동통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원발성 월경곤란(생리통)의 치료방법

원인이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증가 이기 때문에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억제제를 사용학 되면 80%정도의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억제제를 통증이 생기기 직전 혹은 직후에 복용하며, 6~8시간 간격으로 수일간 복용하게 됩니다. 

주의할 점은 위 및 십이지장에 궤양이 있거나 아스피린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은 조심해야 됩니다.

만약 해당 억제제를 통해서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마약성 진통제(코데인)을 2~3일 정도 사용하게 됩니다.

약물치료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따뜻한 팩을 복부에 대어주거나 아로마 요법, 명상, 요가 등을 통해서 통증 완화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생리통을 완화시키는 자세가 있을까?

요가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도 베드핏이라고 하는 자세가 효과가 있습니다. 이자세는 등과 복부를 자극하여 생리통을 완화시켜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몸을 앞으로 굽히는 자세를 하기 되면 생리통을 완화할 수 있다고 합니다. 허리를 쭉 펴고 몸을 천천히 굽히는 것이 핵심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