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섬유근육통(fibromyalgia), 증상 원인 자가진단방법 치료방법 예방방법

by Dinero-Economy 2023. 1. 31.

섬유근육통이란?

연부조직에 만성적인 통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특별한 원인 없이 신체 여러 부위의 통증, 피로, 수면 장애 및 인지 장애 등이 3개월이 이상 만성적으로 계속되는 질환입니다. 신체 곳곳에 누르면 아픈 지점이 나타나는 힘줄 및 인대 근막과 근육, 지방조직 등 연부조직의 통증 증후군이다. 신체의 기형을 나타나게 하는 등의 큰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섬유근육통으로 장애등급을 받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 질환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하지만 30~50대가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남성보다 여성이 약 10배에 가깝게 발생률이 높습니다. 

섬유근육통
섬유근육통

섬유근육통 증상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입니다. 특정 한 부위에서 시작하여 점점 전신으로 퍼지면서 주로 하부요통 혹은 목, 어깨 등 부위까지 통증이 발생합니다. 경상도 표현으로는 "우리하다" 라고 표현하기도 하듯 깊숙이 은근하게 아프기도 하며, 얼얼하거나 몸이 뻣뻣한 것처럼 느껴지는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는 경직을 주로 호소하는데, 류마티스 증상과 비슷하게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몸의 근육과 관절이 뻣뻣하고, 시간이 흐르면 점점 완화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한 사람들은 하루 종일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다음으로 많은 증상은 피로감입니다. 수면 중 깨거나, 수면을 취해도 개운함이 없어 피로감이 지속되고, 가벼운 활동에도 쉽게 피로를 느끼는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평소에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지점에서도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정신적으로 피로감을 제공하기 때문에 과민성 대장증후군, 과민성 방광, 편두통, 월경통, 비심인성 흉통 등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 원인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통증에 대한 지각 이상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섬유근육통 환자들은 평소에 통증으로 느끼지 않는 부위에 통증으로 느끼게 됩니다. 여러 가지 통증과 상관이 없는 자극에 대해서 몸이 적절히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후천적 요인이 모두 있는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로 환자의 가족들이 정상인들보다 발병률이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후천적 요인은 외상,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섬유근육통 진단방법

섬유근육통 자가진단으로 18개 부위의 특정 신체부위의 압통 검사를 진행하고, 이 중에서 11개 이상의 부위가 유사한 압통이 나타나는 경우와 이러한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섬유근육통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이론상의 진단방법이며, 실제로는 더 적거나 많은 부위에서 압통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최근 개정된 진단 기준의 경우, 전신 통증의 지수, 기분 및 인지 능력, 신체화 증상 등 동반 증상을 평가하는 증상 중증도를 기준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압통 부위의 수와 관계없이 진단하기도 합니다.

 

섬유근육통 치료방법

정신적 스트레스가 원인인 경우도 많기 때문에 질환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근육을 풀어 주도록 운동하여 심혈관계 작용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운동치료를 동반합니다. 그와 동시에 수면 및 통증 등에 대한 약물 치료 등이 중요하게 시행됩니다. 약물 치료의 첫 단계는 항우울제로 개발된 약제들을 주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노르트립틸린(nortriptyline), 독세핀(doxepin) 등을 잠을 자기 전에 복용하는 방법으로 시작하고,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조금씩 양을 늘려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그 외에 항우울제 약제로는 플루옥세틴(fluoxetine), 파록세틴(paroxetine), 둘록세틴(duloxetine), 프리가발린(pregabalin), 밀나 싶란(milnacipran) 등의 약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섬유근육통은 불치병이 아닌 난치병의 일종이기 때문에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방법이므로 병원에서 처방을 받으신다면 완치되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완치사례등은 많은 후기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섬유근육통 예방방법

치료방법의 일부분과 동일한 것으로 규칙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섬유근육통 발생률 저하에 도움이 됩니다. 단 수면에 문제가 없을 때 시작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낮은 수준에서 시작하고, 20~30분씩 짧은 시간을 주 3~4회로 자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만성피로에 도움이 되는 영양제 등을 복용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비타민 B12, 코큐텐, 알파리포산, 아스타잔틴, 오메가 3 등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