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의 매수 타이밍은 가치 대비 저렴할 때 사는 것입니다.
투자란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 가장 기본 마인드 입니다. 지금 관심 있게 보고 있는 주식 종목이 있다면, 투자를 해야 될지 검토하기 위해 현재의 주가가 저렴한 가격인지, 비싼 가격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첫 번째로 이루어져야 하는 종목분석의 시작입니다.
주가 분석을 위한 기초 주식 용어의 이해
HTS 나 MTS 같은 증권사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주식창을 들여다보면 PER, PBR, ROE 등 다양한 용어들에 대해서 분석을 완료하여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투자 전에 반드시 검토되어야 하는 중요한 지표들이기 때문입니다. 투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증권사에서 투자자들을 배려한 것이라고 봐도 되겠습니다. 주가 분석에 필요한 핵심 용어들 몇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PS (Earning per share)
한 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가를 의미합니다. 순이익을 총 발행주식수로 나누어서 계산되는 수치입니다. EPS 만으로 봐서는 크게 의미있는 수치는 아니지만 의미 있는 수치를 산출할 때 필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A종목의 총 순이익이 1,000,000원이고, 총 발행주식수가 200주 라면, EPS가 5,000원이 되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총 발행 주식수가 많을수록 EPS 낮아지고, 순이익이 높아질수록 EPS를 높아지는 것입니다. 즉, EPS가 높다는 말은 이익이 많다는 뜻이니까 EPS가 클수록 좋습니다. EPS가 우상향 한다는 것은 점점 이익을 늘려나간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를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주가를 주당순이익인 EPS로 나누면 PER의 배수를 알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한 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에 비해서 현재 주가가 얼마나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를 보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서, A종목의 현재 주가 50,000원이고, 주당순이익(EPS)이 5,000원이라면, PER은 10배가 나오는 것입니다. A종목이 벌어들이는 순이익에 대비해서 10배 높은 가격으로 거래가 되고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으니 투자자들이 현재 10배의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보는 지표이고, 주식의 가격은 투자자들의 기대감으로 선정되기도 합니다.
BPS (Bookvalue per share)
한 주당 순자산(부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자기 자본) 이 어느 정도가 되는 것인지를 의미합니다. 이것 또한 중요한 지표 PBR을 산출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지표이므로, 의미 정도는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A종목의 순자산이 10,000,000원이 있고, 발행주식 수가 200주 라면, BPS가 50,000원이 되는 것입니다.
PBR (Price on Bookvalue Ratio)
주가 순자산 비율을 의미합니다. 현재 주가를 BPS로 나누어서 볼 수 있는 수치입니다. 즉, 현재 주가가 BPS 대비하여 얼마나 고평가 혹은 저평가되었는지를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는 PBR이 1보다 크면 고평가 되었다 그리고 1보다 작으면 저평가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예를 활용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현재 주가가 50,000원이고 BPS가 50,000원이라면 PBR이 1 이므로 이론상 적절한 주가가 매겨진 것이라고 볼 수 있겠죠. 주가가 50,000원 보다 높다면 고평가, 낮다면 저평가를 의미하게 되는 것입니다.
ROE (Return on Equity)
투입한 자기 자본이(투자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내었는가를 의미합니다. 이때부터 기업의 이익이 얼마나 품질 좋은 이익인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당기순이익을 자기 자본으로 나누어 퍼센트로 표현한 수치 입니다. 여기서 자기자본 이라는 것을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기자본은 대표자가 설립당시에 투자한 자본 뿐만 아니라 이 기업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지분도 자기자본으로 인정합니다.
즉, ROE가 높다는 것은 가지고 있는 자본을 활용해서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내고 있는지를 보는 것이므로, ROE가 높을수록 기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ROA (Return on Asset)
자기 자본뿐만 아니라 부채까지도 포함한 자산으로 어느 정도의 이익을 내었는가를 의미합니다. ROE와 동일한 의미이지만 자본에 부채까지도 포함한 것입니다. 만약 ROA 수치가 ROE 수치보다 작다면, 레버리지(부채)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률이 높아지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자본 활용이 비효율 적이라는 것이고, ROA가 ROE보다 크다면 자기 자본 이외에도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수익률을 더 크게 만들고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입니다. 기업은 대부분 부채를 가지고 있습니다. ROE 혹은 ROA 단독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이 두 가지 지표의 차이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가 분석을 위한 지표들의 총정리
PER이 낮고, PBR이 1보다 낮고, ROA가 ROE 대비 높다면,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주식의 가격만을 보았을 때 충분히 투자할 가치가 있는 기업이 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주식의 가격을 분석하여 매수 타이밍을 보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단순히 객관적 자료만을 가지고 분석하는 방법이었으며, 추가적으로 현 시장 상황 등에 대하여 충분한 Valuation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점은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