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하반기 주가가 기대되는 마이크론
DRAM 시장의 수급을 분석해보면, 상반기까지는 계속해서 마이크론이 어려운 형국을 피하지 못할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역시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상반기까지 재고조정을 마무리 지으려고 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향 후에 DDR5 DRAM 생산량과 판매량에 더욱이 기대를 걸고 있는 모습이기 때문에 하반기에는 조금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이러한 마이크론 테 크로놀로지 (MU)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업분석을 진행하고 밸류에이션에 관련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소개
미국의 메모리 반도체 생산 기업입니다. 한국의 삼성전자와 경쟁하는 미국의 아주 강대한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로 생산하는 제품으로는 DRAM과 플래시 메모리는 제작합니다. 기업대상이 아닌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할 때에는 Crucial라는 상표로 판매하기 때문에 시중에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라는 이름을 보기는 어려웠을 것인데, DRAM, SD 카드 혹은 SSD를 구매하실 때 다시 한번 보시면 Crucial이라고 명기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NAND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에는 전 세계 5위 기업이고, DRAM의 경우에는 3위를 점하는 기업입니다.
Business Model
Product Technologies 간략하게 보기
1. DRAM
- 다양한 성능 특성을 갖는 고속 데이터 검색을 제공하고, 낮은 레이텐시를 갖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반도체 장치
2. NAND
- 다양한 성능 특성을 가진 대용량, 저비용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비휘발성 반도체 스토리지 장치
3. NOR
- 빠른 읽기 속도를 제공하는 비휘발성 다시쓰기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mpute and Networking Business Unit(CNBU)
클라이언트, 클라우드 서버, 엔터프라이즈, 그래픽 및 네트워킹 시장에서 판매되는 메모리 제품과 설루션을 모두 포함한 사업입니다. 주로 DRAM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obile Business Unit (MBU)
스마트폰과 혹은 그 외 모바일 장치에 적용되는 NAND, DRAM 그리고 관리형 NAND까지도 포함된 사업입니다.
Embedded Business Unit (EBU)
자동차와 같은 소비자 시장에서 판매되는 메모리 및 스토리지 제품에 적용된 NAND, DRAM, 관리형 NAND 그리고 SSD와 NOR까지도 포함된 사업입니다. 임베디드 시장은 저 통적으로 성숙한 공정 기술로 제조된 긴 수명의 제품으로 최근 시장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Storage Business Unit (SBU)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클라이언트 및 소비자 스토리지 시장에 판매되는 SSD 및 다양한 시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컴포넌트 혹은 웨이퍼 형태로 공급되는 NAND가 포함된 사업입니다. 최근 더 높은 용량 및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여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우드까지 가장 데이터 집약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종목분석 (Stock Analysis)
종합정보
기업명 | Micron Technology, Inc. |
상장 | NasdaqGS |
티커명 | MU |
산업 | Semiconductors and Semiconductor Equipment |
시가총액 | $ 61.06 [B] |
평균거래량(10D) | 17.90 [M] |
발행 주식수 | 1.09 [B] |
주요 경쟁사 | AMD, NVDA, TXN, AVGO, INTC |
배당률 | 0.82 [%] |
주가 변동폭(1Y) | 47.98 [%] |
현재가 | $ 56.16 |
밸류에이션
Valuation | Capital Structure | |||
Last Twelve Month | Next Twelve Month | |||
P/E (PER) | 7.2x | 116.8x | Market Cap | 61.06 [B] |
EV/Sales | 1.9x | 3.0x | Total Bebt | 7.58 [B] |
EV/EBITDA | 3.4x | 7.4x | Cash & Inv. | 9.33 [B] |
Price/Book (PBR) | 1.2x | Enterprise Value | 57.65 [B] |
FY2023 | FY2024 | FY2025 | |
매출액 | 19.45 [B] | 27.28 [B] | 30.24 [B] |
전년동기 대비(YoY Chg.) | -36.77 [%] | 40.26 % | 10.87 % |
주가 변화 및 전망
1M | 3M | YTD | 1Y | |
Price | 4.08 % | -13.40 % | -39.71 % | -22.26 % |
Total | 4.30 % | -13.22 % | -39.38 % | -21.75 % |
투자에 관한 내 생각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설비 투자를 올해보다 줄이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으로 보아 현재 시장이 하락하고 있다는 것을 마이크론은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상황에 맞춰 재고량 등을 공장 가동률을 조절하고 재고를 무리하게 운영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맞춰 움직이는 마이크론이 오히려 내년 업황 변화에 따라 마이크론의 실적 또한 회복이 아주 발 빠르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잉여현금흐름은 여전히 자사주와 배당을 통해서 환원하고 있고 기업 자체적으로 환원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잉여현금흐름을 달성하기 위해 상황을 맞춰나가는 것은 아주 전략의 방향성이 희망적입니다. 장기적으로 보고 지금부터 분할매수를 진행하면 하반기에는 좋은 성과가 보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2022년도 3분기 실적은 MU investor relations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지금까지 미국 반도체 관련 주식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 기업 분석 및 밸류에이션(Valuation)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