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관리에 따라 기업의 실적이 크게 변동되는 반도체 관련주
반도체 관련주의 경우 다양한 리스크 요인으로 기업의 실적이 변화될 수 있고 이러한 실적으로 수렴하는 것이 주가 이기도합니다. 그렇기에 엔비디아는 실제로 10-K 혹은 10-Q를 통해서 경영진이 생각하는 리스크 요인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수요 예측의 정확성
경영진이 말하기에 첫번째 리스크 요인으로는 고객의 수요라고 합니다. 고정비 지출과 재고 보유가 불가피한 시장의 경우에는 고객의 수요 예측이 가장 리스크 요인인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반도체 관련된 기업들은 모두가 동일한 요인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있어서 웨이퍼 등 자재를 수급하는 것에 대해서 제삼자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수요 예측에 실패하였을 때 제품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 거나, 과잉 재고를 발생시키는 등의 재정적 피해를 입힐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제품을 게임이나, 데이터센터 그리고 프로페셔널 시각화 및 자동차 시장을 위해서 GPU를 개발을 했는데, 암호화폐 채굴용으로 이렇게 많은 양의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고, 이런 새로운 사례로 인해서 재고 부족 문제를 겪었고, 이번엔 완전히 채굴용 GPU를 개발해버려서 공급 문제를 해결해버릴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사용처에서의 선호도까지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고객의 수요를 예측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3rd party의 의존도가 높습니다.
엔비디아가 취급하는 제품에는 웨이퍼 제조시설 같은 것들을 갖추지 않고, 3rd party의 시설들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하청업체들과의 계약을 통해서 진행하게 됩니다. 즉, 하청업체 간의 조율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객들이 희망하는 물량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리스크 요인과 연관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수요가 명확하게 예측되지 않으면 공급업체를 통해서 물량을 들이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삼자들과 진행되는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엔비디아 자체적으로 해당 문제에 대한 통제력이 적습니다.
제품의 품질개선을 위하여 상당한 비용이 지출될 수 있습니다.
제품의 결함 같은 문제들은 고객이 불만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매번 품질개선을 위한 새로운 제품, 기술, 애플리케이션 등이 도입되면서 새로운 버전들이 생성되면서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센터용 제품에 3rd party를 통해서 구매한 부품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수리를 진행하겠지만 불가피하게 제품을 교체 진행을 해야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품을 교체하는데 발생한 비용과 수리하는데 발생한 비용 등으로 다량의 지출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건으로만 122 백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큰 비중의 지출입니다.
경제상황과 국제운영과 관련된 불확실성
3rd party를 통해서 공급을 받는 문제 또한 국제운영과 관련하여 수급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covid-19와 같이 코로나를 통제하기 위해 정부를 봉쇄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죠. 중국과 같이 국제 비즈니스 및 문화 관행으로 인하여 사업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강달러 현상과 같이 자본 시장의 혼란과, 환율의 변동 또한 수출을 많이 하는 기업으로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태입니다.
사업의 인수 및 투자에 대한 이점을 실현 못할 가능성
제품, 서비스 및 기술을 제공하는 사업을 인수 및 투자를 진행하였는데, 미래는 어떻게 변동될지 모르기에 원하는 만큼 활약을 하지 못했을 경우에 실적 둔화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엔비디아가 소프트뱅크 암(arm) 인수 관련 문제가 이에 해당됩니다. 그리고 인수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을 통합할 때,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합니다. 예상과 같이 진행된다면 큰 문제는 없겠지만, 어려움이 발생할 때가 많았으며 이런 지연은 항상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