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46 패시브 펀드와 액티브 펀드의 차이점 오랜 기간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액티브펀드와 패시브 펀드 주식투자를 해왔다면 누구나 한 번쯤은 고민해봤을 만한 주제인 것 같습니다. 영화 같은 드라마틱한 수익률을 보여 주주는 액티브펀드와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우상향 하는 시장에 맞춰 잔잔한 수익을 얻어가는 패시브 펀드 중 과연 어떤 펀드가 더 좋은 펀드일까요? 각 펀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패시브 펀드 사전적 의미를 먼저 보자면 특정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종목들을 펀드에 담아 그 지수 상승률만큼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펀드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100과 같은 지수를 담는 펀드입니다. 주로 SPY, QQQ, DIA와 같은 지수 추종의 ETF 형태 같은 것들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미국 시장은 아주 효율적이라고.. 2022. 11. 22. IPO 기업공개와 직상장(DL)의 차이점 미국 주식 상장의 2가지 방법 미국 주식의 경우에는 상장방법이 대표적으로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IPO 기업공개와 직상장(DL)이 존재하는데 상장한다는 결과물은 같지만 그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투자방법에 대해서는 다르게 생각해야만 합니다. 과연 IPO에서는 언제 투자가 가능하고, 직상장은 투자 검토를 신중해야 합니다.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IPO(Initial Public Offering) IPO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주식 상장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상장의 주목적은 주식 발행으로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기업 가치를 내세워 주식시장 상장과 동시에 추가 주식발행으로 외부 투자자에게 자금을 확보하는 것 입니다. IPO를 주관하는 투자은행(주관사)을 통해서 기관투자자들에.. 2022. 11. 21. M&A 관련 종목의 주가 상관관계와 대응방법 M&A 시장이 활발한 미국 주식 시장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미국 시장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영업이익과 현금 보유금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기업의 성장을 위하여 M&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거래량이 아주 크게 증가하고 주가 변동도 크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에게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는 이 특수상황을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먼저 왜 인수합병이 진행될까를 고민하자. 기업이 갑작스럽게 기업을 운영하는 것에 있어 문제가 확인되고 부실해지고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면 인수합병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당장에 매도하고 발을 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현금흐름도 안정적이고 마진율도 꾸준하게 유지하고 있는 상태라면 큰 주가변동이 예상되니.. 2022. 11. 19. 미국 리츠 관련주식 리얼티인컴(O)의 경영진이 보는 리스크 요인 꾸준한 월 배당으로 배당주로 유명한 리얼티 인컴도 리스크가 있다. 이번 Covid19 (코로나)로 인하여 어려운 상황을 맞이했던 리얼티 인컴이 이번 열악한 상황에서도 배당액을 유지하면서 잘 버텨왔기에 장기 배당주 투자로 적합한 기업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강한 기업들도 경영진이 보는 실질적 리스크 요인들이 있습니다.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팬데믹 Covid-19 실제로 Covid-19 가 유행하면서 심각하게 전염되어가고 있는 상황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통제하기 위한 전 세계 각 나라별 대책들은 세계 경제 활동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미국, 영국, 스페인을 포함한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검역을 실시하고 여행을 제한하는 등의 경제 활동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친 것입니.. 2022. 11. 16. 미국 반도체 관련주 엔디비아(NVDA) 주가와 실적의 리스크요인 재고관리에 따라 기업의 실적이 크게 변동되는 반도체 관련주 반도체 관련주의 경우 다양한 리스크 요인으로 기업의 실적이 변화될 수 있고 이러한 실적으로 수렴하는 것이 주가 이기도합니다. 그렇기에 엔비디아는 실제로 10-K 혹은 10-Q를 통해서 경영진이 생각하는 리스크 요인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수요 예측의 정확성 경영진이 말하기에 첫번째 리스크 요인으로는 고객의 수요라고 합니다. 고정비 지출과 재고 보유가 불가피한 시장의 경우에는 고객의 수요 예측이 가장 리스크 요인인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반도체 관련된 기업들은 모두가 동일한 요인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있어서 웨이퍼 등 자재를 수급하는 것에 대해서 제삼자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수요 예측에 실패하였을.. 2022. 11. 15. 미국주식 기업의 중요사항을 알려주는 공시문서 기업의 상황을 어떻게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까? 미국 주식이든 한국 주식이든 하루하루 빠르게 변화합니다. 이 변화에는 항상 기업들의 이슈사항들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에 나의 자산을 지키기 위해서는 항상 내가 투자한 기업들의 상황들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한국에 있는 우리가 미국 기업의 상황을 어떻게 실시간으로 알 수 있을까 주요 사항을 알리는 8-K 공시 미국 주식시장은 기본적으로 공개시장에서 시장 참여자의 알 권리에 상당한 보호장치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것은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중요한 사안이 발생하면 되면 의무적으로 공시를 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즉, 전 세계 어디에 있든 인터넷만 된다면 공시문서를 접하고 기업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 문서가 바로.. 2022. 11. 13. 미국주식 어닝 시즌에 공시되는 문서들 feat. 10-Q 빠른 주가 변동을 신속하게 대응하는 여러 가지 기업의 공시들 연간보고서 10-K는 회계연도가 끝나고 90일 이내에 제출해야 되는 문서입니다. 이미 3개월, 1분기 정도가 지나간 시점에서 작성되는 문서라는 뜻입니다. 충분히 사소한 것이든 대단한 것이든 변화가 있을 수 있을 시간인 것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문서로 10-Q라는 분기보고서입니다. 그외에도 실적 발표 보고서(Earnings Release), 투자자 설명서(Investor Presentation), 재무보조 설명서(Financial Supplement) 등이 있습니다. 주식을 한다면 가장 바쁜 시기 어닝 시즌(Earnings Season) 분기별 기업의 진행상태를 공개하는 기간입니다. 물론 10-K와 같이 감사가 완료되었거나, 세세한 내용들까지 담.. 2022. 11. 12. 미국 기업의 모든 정보를 담은 연간 보고서 10-K 내가 투자한 기업의 실적은 어떻게 볼까? 미국 주식은 실적을 따라간다고 계속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가 투자한 기업이 올바른 투자였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업이 설정한 실적 목표치 대비 실제 결과물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재무제표는 어떻게 흘러가는지 알아보는 것이 가장 기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기업의 모든 자료를 담은 연간보고서 10-K 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연간보고서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연간보고서에는 두가지 종류로 나누어집니다. SEC에 제출하기 위한 문서인 10-K와, 투자자 홍보용을 위하여 Annual Report 입니다. 말 그대로 Annual report는 홍보용입니다. 즉, 어떤 내용을 자세하게 담았다기보다는 10-K의 내용들을 이용하여 투자자들이 .. 2022. 11. 12. 이전 1 2 3 4 5 6 다음